문제 상황
너무나 기본적인 개념이었지만, 무턱대고 Nest 적용해보며 코드를 작성하다보니 어려움을 겪었던 문제이다.
{
"statusCode": 500,
"message": "Internal server error"
}
개념
nest가 error를 JSON으로 전송할 때, 해당 오류가 무엇인지 해석하고 그 결과를 전송한다.
사용자가 error 목록을 nest에게 알려주지 않으면, 해석하지 못한 에러가 등장한 경우 위와 같은 JSON 객체를 전송한다.
"Internal server error"라는 것은 nest 서버에서 '해석' 기능을 하지 못한 오류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
error handling을 꼼꼼하게 해두자.
공식 문서를 꼼꼼하게 읽어보자. https://docs.nestjs.com/exception-filters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st] jest cannot find moudle error (0) | 2022.09.06 |
---|---|
[node.js] node-schedule, schedulejob 객체(readonly) 수정하기 (0) | 2022.08.30 |
[Express] body parser? urlencoded? (0) | 2022.08.24 |
[CORS] CSR에서 google oauth2.0 적용기 (0) | 2022.07.29 |
[Express] request 객체에 object 담기 (0) | 2022.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