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atabase

[DB] Connection pool의 실용성과 유의점

참고

https://linked2ev.github.io/spring/2019/08/14/Spring-3-%EC%BB%A4%EB%84%A5%EC%85%98-%ED%92%80%EC%9D%B4%EB%9E%80/

https://velog.io/@mstar228/Connection-Pool%EC%9D%B4%EB%9E%80#%EC%9E%A5%EC%A0%90


실용성

1. connection pool 객체는 WAS와 DB의 연결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 WAS가 DB로 요청을 보내는 과정(TCP 통신 방식)에서 핸드쉐이킹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켜준다.

2. pool 객체의 수를 제한해두는 경우 서버로의 접속이 동시에 다량으로 발생하는 부하를 막을 수 있다.


유의점

1. pool을 보유하고 있느 것만으로도 메모리를 사용함.

2. connection pool을 사용함으로써 얻는 이익을 평가한다했을 때,
    pool의 개수 보단 그 pool을 사용하는 WAS가 굴리는 thread의 숫자와 WAS를 굴리는 CPU의 성능이 유의미한 변인임.